국정원 특수활동비 상납 의혹을 수사 중인 검찰이 박근혜 전 대통령을 오는 22일, 검찰 조사에 나오라고 통보했습니다. 지금 재판에도 나오지 않고 있는데, 만일 소환에 불응할 경우 구치소 방문조사를 진행하겠다는 방침입니다. 검찰이 국가정보원 특수활동비 상납 의혹과 관련해 박근혜 전 대통령을 오는 22일 피의자 신분으로 소환합니다. 지난 4월 뇌물수수 혐의 등으로 구속기소 된 뒤 다른 혐의로 조사를 받는 건 이번이 처음입니다. 박 전 대통령은 청와대 관계자들에게 지시해 수십억 원의 특활비를 상납받은 의혹을 받고 있습니다. 검찰은 자금의 사용처와 상납 경위를 집중적으로 추궁할 방침입니다. 또 세월호 보고 조작 의혹과 보수단체에 불법으로 자금을 지원한 일명 화이트리스트 의혹 등도 조사할 것으로 보입니다. 하지만..
국정원 특수활동비를 받은 의혹으로 10일 오전 검찰에 출석한 조윤선 전 정무수석이 11일 새벽까지 이어진 조사를 마치고 귀가했습니다. 검찰은 조사결과에 따라 조 전 수석에 대한 구속영장을 다시 청구하는 방안도 검토 중입니다. 문화예술계 블랙리스트를 기획하고 실행한 혐의로 재판을 받는 조 전 수석은, 지난 7월 1심에서 '집행유예'로 풀려났습니다. 석방 넉 달 만에 조 전 수석을 부른 검찰은 새로운 혐의 두 가지를 집중적으로 조사했습니다. 검찰은 조 전 수석이 박근혜 정부 정무수석으로 재직할 당시, 국정원으로부터 매달 5백만 원의 '특활비'를 받아 모두 5천만 원가량을 챙긴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또 전경련을 압박해 관제시위에 동원한 '보수단체' 등에 69억 원가량을 지원하도록 한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
2016년 여름 국정원의 특수활동비 청와대 상납이 두 달간 끊겼다가 재개됐다는 사실 보도해 드렸습니다. 박근혜 전 대통령이 이병호 전 국가정보원장에 청와대 상납 재개를 직접 요청했다는 진술이 나왔습니다. 구속영장이 기각된 지 이틀 만에 검찰은 이병호 전 국정원장을 다시 불러 조사했습니다. 검찰은 이 전 원장을 상대로 국정원 특수활동비 상납과 관련해 박근혜 전 대통령의 구체적인 지시가 있었는지 조사를 벌였습니다. 이 전 원장은 "박 전 대통령이 지난해 7월 상납이 끊어지자 특활비에 대해 직접 이야기했다"고 진술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2016년 7월은 미르재단 등이 언론에 불거지면서, 국정원의 청와대 상납이 중단됐던 시기. 박 전 대통령은 "하던 대로 하라", "고맙다"는 취지의 말을 건넸고, 이 전 원장..
재판을 앞두고 박근혜 전 대통령이 수시로 몸이 아프다고 호소를 해 서울구치소가 바싹 긴장했습니다. 최순실 씨는 국정원 특수활동비에 대해 자신은 모른다며 검찰 조사를 거부했습니다. 재판이 다가왔지만, 박근혜 전 대통령은 여전히 국선변호인을 거부하고 있습니다. 교정 당국 관계자는 "박 전 대통령에게 접견을 신청한 사람이 아무도 없다"고 밝혔습니다. 박 전 대통령은 현재 CCTV가 없는 독방에 머물고 있는데, 만약의 사태에 대비해 전담 교도관이 관리하고 있습니다. 얼마 전 병원에서 언론에 노출된 박 전 대통령은 '허리 디스크'와 '발가락 통증'을 자주 호소하는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여기에 '역류성 식도염'으로 식사를 제대로 하지 못하면서, 구치소 측이 바싹 긴장하고 있습니다. 검찰은 국정원 특수활동비와 관련해..
문고리 3인방이 박근혜 전 대통령으로부터 명절 때마다 3천만 원씩 이른바 떡값을 받았다고 털어놓았습니다. 4년 동안 어림잡아 3억6천만 원에 달하는데, 국정원 특수활동비일 가능성이 큽니다. 국정원에 특수활동비를 받아 박근혜 전 대통령에게 건넸지만, 사용처는 모른다던, 이른바 '문고리 3인방 비서관' 이 중 일부가 입을 열었습니다. 박 전 대통령이 1년에 3천만 원씩 명절 떡값을 줬는데, 자신들이 건넨 국정원 특수활동비에서 나온 돈으로 알고 있다고, 검찰에서 진술한 겁니다. 검찰은 지난 4년간 한 사람당 1억 2천만 원씩, 모두 3억 6천만 원을 받은 것으로 파악하고 있습니다. 이 진술이 사실이라면, 박 전 대통령이 특수활동비를 사적으로 유용한 셈입니다. 이와 관련해, 안 전 비서관이 2016년 9월 국정..
국정원의 또 다른 돈 5억 원은 '진짜 친박' 후보를 가리기 위한 여론조사에 사용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그런데 선관위에 전혀 신고되지 않아 불법 여론조사란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 2016년 초 박근혜 정부 당시 청와대는 4·13 총선을 앞두고 여론조사를 진행했습니다. 조사 목적은 대구·경북 지역에서 진짜 친박, 일명 '진박'과 '비박'을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국정원의 특수활동비 5억 원을 이 조사에 가져다 썼는데, 여론조사를 담당한 업체가 청와대 정무수석실과 연관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 인터뷰 : 사무실 관계자 - "여기(여론조사 업체)는 (10월) 18일에 이사 간 것으로 알고 있어요, 간판도 우리가 떼어냈어요." 선거 과정에 조직적으로 관여한 것이란 의혹이 이는 가운데, 여론조사..
이명박 정부 당시, 이른바 '댓글 공작'을 했던 국군 사이버 사령부가 청와대에 보고한 비밀문서가 무더기로 추가 발견됐습니다. 사이버사는 여론을 조작하기 위해 인터넷 매체까지 설립한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국방부 사이버사 댓글 재조사 TF가 군 내부 통신망 '케이직스'를 복원해 추가로 발견한 문서는 모두 701건입니다. 18대 대선 직전까지 보고된 462건에 이은 추가 문서입니다. 2010년 7월부터 12월까지 청와대에 발송된 문서에는 정치인과 연예인에 대한 동향 보고는 물론 천안함 폭침과 연평도 포격 도발 등과 관련한 댓글 대응 작전이 기재돼 있었습니다. G20 정상회담, FTA 협상, 김관진 장관 후보자 지지 여론 조성 등도 대응 대상이었습니다. 사이버 503단 요원들이 받은 '댓글 수당'도 국가정보원의..
- Total
- Today
- Yesterd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