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세훈 전 국정원장이 재임 시절 특수활동비로 200만 달러를 미국 내 계좌로 빼돌린 정황이 확인됐습니다. 박근혜 정부 시절뿐 아니라 이명박 정부 시절에도 특활비를 사적으로 빼돌린 사실이 포착된 겁니다. 서울중앙지검은 원세훈 전 국정원장이 수감 중인 서울구치소 수용실과 국가안보전략연구원을 '압수수색'했습니다. 검찰은 원 전 원장이 현직 시절 해외 공작비 명목으로 미국 스탠퍼드대학에 자금 일부를 송금한 사실을 확인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원 전 원장이 개인적으로 빼돌린 자금은 200만 달러, 우리 돈 약 '20여억' 원 규모, 돈을 보낸 시점은 2011년 말과 2012년 초 사이입니다. 검찰은 원 전 원장이 2013년 퇴임 후 '스탠퍼드대 객원 연구원'으로 가려는 계획을 세우고 이 돈을 보낸 것으로 의심하고..
원세훈 전 국정원장을 조사하고 있는 검찰이 문화계 블랙리스트 작성과 국정원의 선거 개입 배후로 윗선을 캐내는 작업에 돌입하자, 이명박 전 대통령이 처음으로 견해를 밝혔습니다. "적폐청산이란 퇴행적 시도는 성공 못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더불어민주당은 이 전 대통령 시절 청와대가 선거에까지 개입했다는 문건을 공개했습니다. 이명박 전 대통령이 현 정부의 적폐청산 기조에 정면 반발해 첫 공식 입장을 냈습니다. 자신의 페이스북에 글을 올려 "적폐청산이란 퇴행적 시도는 국익을 해칠 뿐 아니라 결국 성공하지도 못한다"고 주장했습니다. "때가 되면 국민 여러분께 말씀드릴 기회가 있을 것"이란 메시지도 덧붙였습니다. MB정부 당시 국가정보원의 정치인 사찰과 대선 개입 등 의혹이 잇따라 불거져 검찰 수사에 직면하자 강한..
검찰이 26일 원세훈 전 국정원장을 불러 민간인 댓글 부대에 자금을 지원했는지 등을 조사했습니다. 당시 이를 관리했던 전직 국정원 간부 2명은 구속됐습니다. 포승줄을 맨 원세훈 전 국정원장이 호송 버스에서 내립니다. 댓글 부대 동원으로 선거에 개입한 혐의가 인정돼 8월 30일 구속된 뒤 첫 소환입니다. 검찰은 원 전 원장이 민간인 댓글 부대인 '사이버 외곽 팀'에 70억 원을 부당 지원한 혐의를 집중적으로 추궁했습니다. 나아가 이 같은 과정을 당시 청와대에 보고했는지도 조사하고 있어 검찰 수사가 이명박 전 대통령으로 확대될 수 있다는 가능성까지 제기됩니다. 또한, 법원은 어제 사이버 외곽 팀을 관리했던 당시 심리전단 과장급 간부 2명에게 구속영장을 발부했습니다. 지난 2009년부터 2012년까지 선거에 ..
이명박 정부 시절 국가정보원이 연예인 블랙리스트에 이어 특정 방송사 간부들의 블랙리스트도 만든 것으로 드러나 검찰이 확인에 나섰습니다. 이명박 정부가 MBC 등을 장악하는 데 국정원을 동원했는지, 본격적인 수사가 이어질 것으로 보입니다. 이명박 정부 시절 국정원이 연예인 말고도, 방송사 주요 간부와 PD들에 대한 블랙리스트도 만들어 관리한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이 문건에는 '일괄 사표를 받고 나서 선별적으로 수리하는 방식으로 핵심 경영진을 교체한다'는 등의 내용이 담겨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당시 MBC에서는 문건 내용과 유사한 상황이 벌어졌습니다. 지난 2009년 말 엄기영 당시 MBC 사장이 임원 8명과 일괄 사표를 냈고, 이후 사표가 수리돼 김재철 사장이 임명됐습니다. 국정원은 방송사 간부는 물..
이명박 정부 당시 국가정보원이 선정적인 합성사진까지 뿌려가며 정부에 비판적인 연예인들을 견제했던 사실이 드러났습니다. 검찰은 곧바로 수사에 돌입했는데, 18일 오전 11시 배우 문성근 씨가 피해자 자격으로 검찰에 나옵니다. 지난 2011년 10월, 인터넷에 낯뜨거운 사진이 올라옵니다. 배우 문성근 씨와 김여진 씨가 종북 세력이라며 두 사람을 부적절한 관계로 묘사한 사진입니다. 그런데, 이 사진을 합성한 곳이 다름 아닌 국가정보원 심리전단이었던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정부에 비판적이던 두 연예인의 이미지를 실추시키기 위해서입니다. 국정원 개혁위원회는 원세훈 전 원장 등을 국정원법 위반 혐의로 검찰에 수사 의뢰했습니다. 개혁위는 이어 박원순 서울시장을 종북 인물로 규정해 비판 여론을 조작한 단서도 포착해 함께..
- Total
- Today
- Yesterd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