댓글 공작을 지시한 혐의로 김관진 전 국방부 장관과 임관빈 전 정책실장에게 구속영장이 청구됐습니다. 김 전 장관이 이명박 전 대통령의 지시를 받은 사실을 일부 시인하면서, 이 전 대통령의 소환이 불가피해 보입니다. 이명박 정부 당시 사이버 여론 공작을 지시한 혐의를 받는 김관진 전 국방장관에 대해 검찰이 구속영장을 청구했습니다. 앞서 지난 7일 검찰에 피의자 신분으로 출석한 김 전 장관은 8일 새벽까지 15시간의 강도 높은 조사를 받았습니다. 김 전 장관은 이명박 전 대통령이 국군 사이버사령부에 '우리 사람을 뽑으라'고 지시했다는 의혹에 대해 일부 인정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하지만, 당시 대북 사이버전 수행에 적합한 국가관이 투철한 인물을 뽑으라는 취지로 이해했다고 말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김 전 장..
MBN이 국군 사이버사령부의 댓글 전문 부대인 530단이 댓글 원고와 카툰 제작을 위한 전문 작가까지 고용했다는 내용 단독 보도했습니다. 이들이 만든 문제의 그림들을 살펴보니 당시 야당 정치인들을 폄훼하는데 상당한 공을 들인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이명박 정부 말부터 박근혜 정부 초까지 사이버사령부가 생산해낸 합성사진과 그림들입니다. 자세히 살펴보니 대상은 당시 야당 정치인들. 손학규 전 대표 등 민주당 의원들을 비롯해, 정의당 의원 등 야당 의원들의 모습이 곳곳에서 보입니다. 손학규 전 대표를 개에 비유하는가 하면 당시 정부 정책에 반대한 야당 주요 인사들을 말 바꾸기 5인방이라며 비하하기도 합니다. 특히 일부 정치인에 대해선 미친 친북주의자라고 폄훼하며 가슴에 인공기를 그려 넣은 뒤 김정일, 김정은과 ..
MBN이 국군 사이버사령부의 댓글 전문 부대인 530단의 세부 예산이 담긴 문건을 단독 입수했습니다. 예산을 보니 댓글 작성과 카툰 제작을 위해 전문 작가까지 고용했습니다. 박근혜 정부 출범 초 국군 사이버사령부의 댓글 부대인 530단이 만든 카툰입니다. 박 전 대통령의 국제 공헌을 미화하는가 하면 신격화하는 듯한 그림도 눈에 띄는데 수준이 상당합니다. 실제로 MBN이 단독 입수한 2014년 530단 예산안을 살펴보면 외부 전문 작가를 고용해 이런 카툰을 제작한 내용이 고스란히 드러납니다. 중견 작가 3명에게 편당 25만 원씩을 지급하며 하루에 삽화나 만평 같은 카툰 한 편씩을 만들어냈습니다. 국내 정치용 UCC도 전문가의 손을 거쳐 만들어졌는데, 매달 8편의 영상이 제작됐습니다. 특히 온라인 댓글 작성..
그런데, 김관진 전 국방부 장관 시절인 2012년 대선 직후 사이버사령부 산하 심리전단이 대선 당시 자신들의 공을 인정해 달라는 듯한 문건이 나왔습니다. 조직을 격상하고, 조직의 우두머리였던 심리전단장의 직급을 올려달라는 요구였습니다. 2013년 3월 작성된 군 사이버사령부 문건입니다. 당시 백낙종 국방부 조사본부장이 사이버사령부를 방문했을 때, 옥도경 사이버사령관이 이례적인 사안을 부탁합니다. 이태하 심리전단장의 직급을 3급에서 2급으로 상향 조정해달라는 겁니다. 당시 2급은 정원에 없던 상황으로, 사실상 조직을 격상해 달라는 요구입니다. 또, 심리전단 활동을 '전투 임무'라고 표현하고, 군무원 지휘관과 부서장에게 매달 60만 원과 15만 원씩을 지급해달라는 요청도 덧붙입니다. 이 문건을 만든 장본인은..
- Total
- Today
- Yesterd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