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험회사들이 그동안 실손보험료를 100억 원이나 더 걷은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손해를 본 가입자만 40만 명이나 됩니다. 혹시나 하는 마음에 국민 10명 가운데 7명이 가입한 실손의료보험. 하지만, 보험료가 지난해 18.4%, 올해 12.4% 올라 소비자들의 불만이 잇따랐습니다. 그런데 알고 보니 보험료 책정이 엉터리로 드러났습니다. 금융감독원이 2008년 이후 판매된 실손보험을 들여다본 결과, 40여만 명이 원래 내야 할 보험료보다 100억 원을 더 냈습니다. 꼼수까지 동원됐습니다. 2009년 10월부터는 보장을 10% 더 해주는 표준화가 이뤄졌지만, 이전 가입자는 이후 가입자보다 보험료를 만 원씩 더 냈습니다. 이전 가입자는 보장을 덜 받는 만큼 보험료가 내려가야 하는데도 그대로 보험료를 낸 겁니다...
정부가 MRI 같은 값비싼 진료에도 건강보험을 적용하기로 하면서, 실손보험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습니다. 실손보험에 가입할 필요가 있는지, 또 보험료 인하 가능성이 없는 지에 대한 궁금증이 커지고 있습니다. 한 보험사가 내놓은 실손보험 상품입니다. 이 보험에 가입하면 입원비와 수술비, 상급 병실비 등을 보장받을 수 있는데 정부의 이번 발표로 일부 항목은 건강보험 대상에 포함됐습니다. 실손보험 시장은 약 7조 원 규모. 당장 신규 가입을 꺼리는 분위기가 조성되면서 실손보험 무용론까지 나오고 있습니다. ▶ 인터뷰 : 조연행 / 금융소비자연맹 대표 - "보험료도 줄여서 산정해서 신규 계약자들한테 판매해야 마땅하다고 생각합니다. 기존 상품에 가입하는 것보다는 보험료가 낮아질 것을 반영한 신규 상품에 가입하는 ..
상대방의 실수로 자동차 사고가 났는데, 내 보험료가 상대방과 똑같이 오른다면 여러분의 기분은 어떨까요. 이렇게 말도 안 되는 이유로 그동안 보험료가 올랐는데, 오는 9월부터는 사고 책임에 따라 보험료가 올라가거나 떨어집니다. 녹색 신호를 따라 직진하던 차 앞으로 갑자기 우회전하는 차가 끼어들어 사고가 납니다. 이럴 때 끼어든 차의 잘못이 8대 2로 직진 차보다 훨씬 높지만, 다음해 보험료는 끼어든 차나 직진차 모두 30% 증가합니다. 보험료 할증률 산정 시, 두 차량 간 과실 차이를 반영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오는 9월부터는 누구의 과실인가에 따라 보험료 할증도 달라집니다. 과실이 50% 이상인 경우에는 현재의 보험료 할증을 그대로 적용하지만, 과실이 50% 미만일 때는 보험료 할증 폭을 대폭 ..
본격적인 여름 휴가철을 맞아 해외여행 떠나려는 분들 많으시죠? 위험에 대비해 해외여행보험을 들까 말까 고민이라면, 이번 보도 자세히 보시기 바랍니다. 설레는 마음을 안고 해외로 떠나는 여행객들. 혹시 모를 사고에 대비해 해외여행보험을 문의하는 발길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보험개발원에 따르면, 여름 휴가철인 7~8월에 해외여행 사고 발생률이 가장 높았는데, 일주일에 1만 원대 보험료만 내면 휴대품 분실을 비롯해 다쳤을 때도 보상받을 수 있습니다. 출처 : MBN뉴스
- Total
- Today
- Yesterd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