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국종 교수는 또 귀순 북한 병사의 상태를 공개한 것이 인권침해라는 의료계 일각의 비난에 대해 발끈했습니다. 기자들에게 환자의 인권을 지키는 것이 과연 무엇이냐며 반문하기도 했습니다. 이국종 교수는 귀순 병사에 대한 브리핑을 시작하기에 앞서 불편한 심경부터 토로했습니다. ▶ 인터뷰 : 이국종 / 아주대병원 중증외상센터장 - "이런 상황까지 오게 된 게 굉장히 자괴감이 듭니다. 의사들이 환자들에 대해 쉽게 생각하지 않습니다." 한 시간 반이 넘는 시간 동안 환자의 상태를 공개하는 게 인권 침해라는 의료계 일각의 비판부터 적극적으로 반박했습니다. 그동안 공개하지 않았던 '석해균' 선장의 수술 장면까지 보여주며 과연 죽어가는 환자의 인권을 지키는 게 무엇이냐고 묻기도 했습니다. ▶ 인터뷰 : 이국종 / 아주대..
북한군 1명이 13일 오후 판문점을 통해 귀순했습니다. 이 병사는 귀순 중 '총상'까지 당해 병원에서 치료를 받고 있습니다. 13일 오후 3시 반쯤 북한군 1명이 판문점 공동경비구역 우리 측 자유의 집으로 귀순했습니다. 이 병사는 귀순 과정에서 북한군의 총격을 받아 팔꿈치와 등 부위에 총상을 입고, 군사분계선 남쪽 50m 지점에 쓰러져 있었습니다. 당시 총성을 듣고 경계 근무를 강화하던 우리 군은 포복 자세로 접근해 신병을 확보한 뒤 병원에 후송했습니다. 이 병사는 이른바 '아덴만 영웅'으로 석해균 삼호주얼리호 선장의 목숨을 구한 아주대병원 이국종 교수 집도 하에 수술을 받았습니다. 합참은 귀순 당시 남북 간 교전은 없었으며, 이 병사의 치료가 끝나는 대로 계급과 귀순 동기 등을 조사할 방침입니다. 판문..
총상을 입은 채 귀순한 북한군 병사가 경기 수원 아주대학교 병원으로 이송돼 '이국종' 교수의 집도하에 수술을 받았습니다. '중증외상치료' 전문의인 이국종 교수는 2011년 군이 소말리아 해적에게 납치된 인질을 구출한 아덴만 작전, 당시 석해균 선장을 살린 의사로 화제를 모은 바 있습니다. 이 병사는 일단 생명에는 지장이 없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다만 이 교수는 "수술을 더 이어가면 환자가 체력적으로 버틸 수 없을 것으로 판단해 13일 수술을 마친 것"이라며 앞으로 추후 수술의 필요성에 대해 언급했습니다. 귀순한 북한 병사는 13일 오후 4시 40분 아주대병원 경기 남부권역 외상센터에 헬기로 이송돼 곧바로 수술실로 옮겨졌습니다. 이 병사는 앞선 오후 3시 31분 판문점 공동경비구역을 통해 귀순했지만, 팔..
- Total
- Today
- Yesterd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