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정부 당시 청와대가 메르스 유가족이 힘을 합치지 못하도록 관련 부처가 대응하라고 지시를 내린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세월호에 이어 메르스 사태까지 박근혜 정부가 신경 쓴 건 재난이 아닌, 여론 대응이었습니다. 국내에서 첫 메르스 환자가 나온 것은 지난 2015년 5월. 당시 6개월간 186명의 환자가 발생했고 이 가운데 38명이 목숨을 잃었습니다. 하지만, 청와대는 국가적 재난 대응보다 다른 곳에 관심이 쏠려 있었습니다. 당시 청와대 수석비서관 회의록에 따르면, 청와대는 유가족들의 움직임을 주시하며 '이슈화 막기'에 총력을 기울였습니다. 2015년 7월 이병기 비서실장은 수석비서관 회의에서 "메르스 유가족들을 모임화하려는 움직임이 있다"며 "사전에 제어할 수 있도록 적극 대응하라"고 지시합니다. 이..
검찰이 18대 대선 당시 박근혜 후보의 선거운동을 불법 지원한 '십알단'에 대해 재수사에 착수했습니다. 박근혜 정부 시절 국정원이 방송통신위원회 간부를 상대로 사상검증에 관여한 정황도 드러났습니다. 검찰이 18대 대선 당시 국정원과 박근혜 후보를 돕기 위한 불법 선거운동 조직으로 알려진 '십알단'의 연관성에 대해 수사에 착수했습니다. 십알단 운영자였던 윤정훈 목사와 국정원 직원 간의 통화 내용이 확보된 데 따른 것입니다. 검찰은 십알단 활동비에 국정원 자금이 흘러갔을 가능성을 열어두고 계좌추적을 진행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18대 대선 당시 불거졌던 남북정상회담 녹취록 유출사건도 검찰의 수사 대상에 올랐습니다. 대통령 선거를 일주일 앞두고 당시 새누리당은 노무현 전 대통령이 남북정상회담에서 NLL..
- Total
- Today
- Yesterd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