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루 이틀 비가 내렸지만, 여전히 가뭄 해갈에는 턱없이 모자란 상황입니다. 가뭄으로 과일과 채솟값이 오르면서 "입에 넣는 건 다 올랐다"는 말이 실감이 납니다. 김밥의 평균 가격은 2천140원으로 2년 만에 300원 넘게 올랐고, 한 줄에 1천 원 하던 김밥은 아예 사라졌습니다. 사상 최악의 가뭄에 과일 값은 4년 만에 최고 수준으로 치솟았고,양파와 감자 가격은 1년 전보다 각각 85%와 53% 올랐습니다. 여기에 라면과 맥주 등 서민들이 즐겨 먹는 식음료 제품의 가격도 줄줄이 인상됐습니다. 장마의 영향으로 올여름 과일과 채솟값이 추가로 오를 전망이어서, 서민들의 밥상 물가 부담은 더 커질 것으로 보입니다. 출처 : MBN뉴스
최근에만 2천 원 안팎이 올라 말 그대로 치킨 한 마리 2만 원 시대가 됐습니다. 그럼 치킨 업체는 왜 이렇게 가격을 올리고, 가맹점은 치킨을 팔아 도대체 얼마를 남기는 걸까요? 1만 5천 원짜리 치킨의 경우, 원가가 2천 500원 안팎인 1kg짜리 생닭을 도계업체는 프랜차이즈 본사로 4천 원 정도에 넘깁니다. 프랜차이즈 본사는 2차 가공을 해서 5천 원 선에 가맹점에 넘기죠. 가맹점에선 재료비와 인건비·광고비·운영비가 더해져 한 마리 가격에 1만 2천 원. 결국 한 마리 팔면 3천 원이 남는 셈입니다. 치킨점의 생명은 메뉴와 광고 홍보죠. 지난해 주요 치킨 프랜차이즈 업체가 쓴 광고비는 100억 원 정도. 계속해서 오르는 치킨값을 두고 소비자·가맹점·업체의 입장 모두가 다릅니다. 출처 : MBN뉴스
- Total
- Today
- Yesterd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