갑자기 직장을 잃었다면?! 당황하지 말고,실업급여를 신청해 봅시다! 오늘은 아무리 봐도 알쏭달쏭~ 어렵게만 느껴지는 실업급여 제도에 대해알아보고 정리해보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실업급여란 고용보험 가입 근로자가일자리를 잃고 재취업 활동을 하는 동안 정부가 주는 급여를 말해요! 올해부터 하루 6만 원씩매달 '최대 180만 원'까지 수령이 가능한데요! 실업급여를 받기 전 먼저 자격조건을 확인해봐야겠죠?! 고용보험 홈페이지에로그인하고 고용보험 가입이력을 조회합니다! https://www.ei.go.kr 확인 결과, 실직 전 18개월 중 180일 이상 고용보험에 가입되어 있었다면 실업급여 수령이 가능해요! 실업급여 수령 대상이 된다면고용보험 홈페이지에서 실업급여 모의계산도 해볼 수 있는데요. 실업급여 모의..
내년 시간당 최저임금이 역대 최대인 1060원 오른 7천530원으로 확정됐습니다. 인상률도 11년만에 두자릿수인 16.4%인데, 정부가 자영업자와 중소기업인들의 부담을 줄이기 위해 3조 원의 재정을 풀기로 했습니다. 내년 시간당 최저임금이 7천530원으로 결정됐습니다. 인상률로 따지면 16.4%, 예년의 두 배가 넘는 수치입니다. 인상액을 반영해 월급으로 계산하면 157만 3천770원으로, 올해보다 22만 원 넘게 오릅니다. 최근 5년간 최저임금 평균 인상률인 7.4%를 넘는 액수를 지원하기로 한 겁니다. 이를 위해 3조 원 안팎의 예산 등 재정을 투입하기로 했습니다. 문재인 대통령의 공약인 2020년 최저임금 1만 원 달성을 위한 첫 걸음을 내디딘 가운데 이 같은 인상 흐름이 지속될 수 있을지 주목됩니..
문재인 정부 들어 일자리가 화두로 떠올랐는데요. "어느 일자리가 돈을 가장 많이 버나" 통계청이 국내 1,500만 개 일자리의 소득을 분석한 첫 통계를 내놨습니다. 2015년 기준으로 우리나라 노동자들의 월평균 소득은 329만 원으로 나타났습니다. 1,500만 개 일자리를 일렬로 늘어놓았다고 가정하면, 그 한가운데인 중위소득은 241만 원으로 조사됐습니다. 제일 돈 잘 버는 업종은 금융과 보험업으로 평균 600만 원에 육박했지만, 숙박과 음식점업은 173만 원에 불과했습니다. 이번 조사에는 일용직 근로자나 자영업자 900만 개의 일자리는 빠져 있어서, 우리 국민의 실제 소득은 더 낮을 것으로 보입니다. 출처 : MBN 뉴스
- Total
- Today
- Yesterd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