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이 대북제재를 위해 해상봉쇄를 거론한 것을 두고 북한이 "선전포고로 간주하겠다"며 발끈했습니다. 해상봉쇄 움직임이 보이면 "무자비한 대응이 뒤따를 것"이라고 민감하게 반응했습니다. 북한의 어제자 노동신문입니다. "범죄적인 해상봉쇄 책동을 걷어치워야 한다"는 내용이 눈에 띕니다. "자주권과 존엄에 대한 난폭한 침해로 용납할 수 없다"며 "선전포고로 간주하고 절대 수수방관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해상봉쇄를 실천하려는 자그마한 움직임이라도 보이면 즉각적이고 무자비한 대응조치가 뒤따를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지난 8일 조선중앙통신을 통해 '해상봉쇄' 책동은 전쟁행위라고 강한 거부감을 보인 데 이어 두 번째입니다. 앞서 11월 29일 북한이 '화성 15형'을 시험 발사하자 미국은 해상봉쇄 가능성을..
트럼프 대통령이 오는 11월 한·중·일 3국을 방문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북핵 대응방안을 집중적으로 논의할 것으로 보이는데요. 틸러슨 미 국무장관은 중국 스스로 대북 원유 공급을 중단해주길 당부하며 북한을 압박했습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오는 11월 한국과 중국, 일본을 방문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북핵 문제를 논의하고 대북 제재를 위한 3국의 공조를 다시 한번 확인하기 위한 자리가 될 것으로 보입니다. 미 틸러슨 국무장관도 대북 압박을 위한 중국의 협조를 당부했습니다. ▶ 인터뷰 : 틸러슨 / 미 국무장관 - "대화와 협상에 관한 접근을 재고하도록 중국이 원유 공급 중단이라는 아주 강력한 수단을 채택하기를 바랍니다." 유엔 안보리 차원에서 대북 원유공급 전면 중단이라는 제재가 합의되기는 어렵기 때..
- Total
- Today
- Yesterd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