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유선과 충돌해 전복된 낚싯배 선창 1호에는 이른바 '에어 포켓' 속에서 목숨을 건진 3명이 있었습니다. 사고 발생부터 이들이 구조되는 데까지는 무려 3시간 가까운 시간이 걸렸습니다. 숨 막혔던 사투 과정이 신고 전화에 고스란히 담겼습니다. "빨리 좀 와 주세요." 한 남성이 애타게 구조를 요청합니다. 지난 3일 인천 영흥도 앞바다에서 급유선과 충돌한 뒤 전복된 낚싯배 선창 1호 안 에어포켓에 있던 심 모 씨와 기적적으로 연결된 구조 전화입니다. 최초 신고가 접수된 지 한 시간이 넘은 7시 12분, 소형 보트만 왔을 뿐 수중수색이 가능한 해경의 특수구조대는 여전히 현장에 없었습니다. "물이 얼마까지 찼어요?" "많이 찼어요." 다시 30분 뒤, 심 씨는 산소 부족으로 숨이 가빠오기 시작합니다. "숨을 못..
사고가 난 해역은 해상교통관제센터의 관제 구역에서 벗어난 곳이었습니다. 사고를 낸 급유선은 관제 대상 선박이었는데, 30분 빨리 항해하려고 좁은 수로를 항로로 택했다가 참변이 생겼습니다. 선창 1호가 큰 파손을 입고 뒤집힌 것과는 달리 명진 15호는 배 앞부분에 작은 흠만 있을 뿐 멀쩡한 모습입니다. 두 선박은 영흥도와 선재도 사이로 난 좁은 수로를 항해하다 추돌했는데, 이 해역은 해상교통관제센터, VTS의 관제 구역을 벗어난 곳이었습니다. VTS 관제 대상은 여객선과 300t 이상의 선박, 위험화물 운반선 등으로 300t이 훨씬 넘는 명진 15호 역시 관제 대상입니다. 이 때문에 VTS 관제 구역인 영흥도 왼편으로 난 해역을 항해했다면 관제센터의 통제를 받을 수 있었지만, 명진 15호는 좁은 수로인 영..
- Total
- Today
- Yesterd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