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속된 폭염에 밤낮 가리지 않고 에어컨과 선풍기 같은 냉방기기들 많이 사용하실 텐데요. 이런 전자제품을 멀티콘센트에 꽂아 사용하시면 각별히 주의하셔야겠습니다. 멀티콘센트로 인한 화재가 최근 잇따르고 있습니다. 복도는 뿌연 연기로 가득 찼고, 건물 내부는 물론 천장까지 검게 그을렸습니다. 화재 원인을 조사했더니, 불이 시작된 곳은 책상 밑 '멀티콘센트'였습니다. 이런 전기 화재는 지난해에만 9천여 건 가까이 발생해 전체 화재 가운데 20%를 차지했습니다. 전문가들은 전기사용량을 제대로 파악한 뒤 규격에 맞는 걸 사용하는 게 중요하다고 말합니다. ▶ 인터뷰 : 이종한 / 부산소방본부 안전체험관 - "구입하기 전에 내가 얼마만큼의 몇 개의 제품을 사용할 것 인지 한 번 소비 전력을 전부 합산해서 계산해 보시고..
가을에 접어들었음을 알리는 절기 입추입니다. 하지만, 절기라는 말이 무색할 정도로 너무 덥습니다. 에어컨이나 선풍기 없이는 견디지 못할 정도입니다. 전국이 펄펄 끓겠습니다. 특히 남부지방이 더 뜨겁게 달궈지겠습니다. 밀양의 낮 기온 38도, 창원 37도로 사람의 체온보다 높겠고, 서울도 32도까지 오르겠습니다. 온열질환이 발생하기 쉽습니다. 건강관리 잘해주셔야겠습니다. 비가 내리는 곳도 있겠습니다. 중부에서는 아침부터, 경북에서는 낮부터 오겠습니다. 양은 5~50mm 정도지만, 돌풍과 함께 천둥번개를 동반할 수 있겠습니다. 경남내륙에서는 오후에 소나기가 지나겠습니다. 견디기 힘든 더위지만, 이럴 때일수록 상대방을 배려하는 마음이 필요하겠습니다. 출처 : MBN뉴스
연일 30도가 넘는 폭염에 어르신들 더위를 피해 집 주변 경로당들 많이 찾으시는데요. 무더위 쉼터로 지정된 경로당은 선풍기에 에어컨까지 설치돼 있지만, 정작 저소득층이 주로 사는 소규모 경로당에선 에어컨은커녕 선풍기조차 못켜는 상황이라고 합니다. 33도가 넘는 더위에도 할머니들은 좁은 방안에서 연신 부채질만 합니다. 한쪽에 선풍기가 있지만 먼지만 잔뜩 뒤집어썼고, 에어컨은 아예 선조차 뽑혀 있습니다. ▶ 인터뷰 : 김계옥 / 대구 비산동 - "(에어컨) 틀어주면 되지만 나중에 돈(전기료) 낼 때는 아무도 돈 이거 모자란다고…." 판자에 비닐을 덮어 만든 또 다른 경로당입니다. 이곳 역시 땡볕을 피해 온 노인들로 북적이지만, 달랑 선풍기만 한 대다 보니 사람의 열기로 오히려 더 더울 지경입니다. ▶ 인터뷰..
장마에 열대야, 폭염이 이어지면서 에어컨 사용이 늘고 있는데요. 에어컨 냄새를 없애고 전기료를 절약할 수 있는 꿀팁이 있다고 합니다. 에어컨의 가장 큰 골칫거리 냄새. 이 냄새를 없애려면 2주에 한 번 필터 청소를 하는 게 좋습니다. 필터를 분리해 중성세제를 넣은 물에 30분 정도 담궜다 흐르는 물로 씻어 그늘에서 12시간 이상 완전히 건조시켜야 합니다. 또 가끔 송풍 버튼을 눌러 열 교환기의 물기를 말려주면 냄새제거에 도움이 됩니다. 자동차 에어컨에서 냄새가 난다면 에어컨을 끄고 공기 유입 버튼을 눌러 습기를 제거하면 좋습니다. 에어컨 효율을 높이려면 에어컨 옆에 커튼을 달아 직사광선을 피해야 합니다. 에어컨은 실외기로 열을 방출시키는데 직사광선을 막아 실외기 온도를 낮추면, 에너지 효율을 최대 20%..
전국 대부분 지역에서는 폭염특보가 발효 중입니다. 오늘 대구의 낮 기온은 36도, 강릉 35도, 서울도 33도까지 오르며 어제보다 더 덥겠습니다. 현재 곳곳에서는 안개가 끼어 있어 시야가 답답합니다. 안개는 점차 걷히겠고 낮 동안에는 가끔 구름만 지나겠습니다. 자외선이 강한 것은 물론, 오후에는 오존농도도 짙어지겠습니다. 여기에 불쾌지수도 높게 치솟겠습니다. 볕이 강한 시간에는 외출을 피하시고, 수분섭취도 자주 해주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요즘 기온도 높고, 습도까지 높아서 에어컨이나 선풍기 없이는 생활하기 힘드실 텐데요. 초복인 오늘은 보양식으로 더위를 이겨보시는 건 어떨까요? 출처 : MBN뉴스
요즘 아파트 베란다 에어컨 실외기에 둥지를 튼 비둘기가 늘고 있다고 합니다. 배설물 때문에 지저분하기도 하고 혹시 병균이 옮을까 걱정도 되는데, 대책은 없는 걸까요? 인터넷 공간엔 이처럼 베란다에 자리잡은 비둘기 둥지에 걱정스러운 시선을 보내는 사연이 넘칩니다. 비둘기가 비좁은 에어컨 실외기 뒤편으로 파고드는 건 비둘기가 도시화됐기 때문입니다. 원래 비바람이나 천적을 피해 바위 틈에 둥지를 짓지만, 도심지엔 그런 곳이 드물어 실외기 뒤편이 대안이 된 겁니다. 전문가들은 플라스틱 끈을 뾰족하게 묶어 실외기와 베란다 난간에 설치하거나 철사를 길게 엮어 「비둘기가 쉽게 접근하지 못하게 하면 퇴치에 효과가 있다고 말합니다.」 「외국 도시들이 적극적인 증식 방지 대책을 세우는 것과 달리 우리는 먹이주기를 자제하라..
- Total
- Today
- Yesterd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