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쇼트트랙이 지난 소치 올림픽 금메달 2개의 부진을 털고 평창에서 명예회복을 다짐하고 있는데요. 매일 강도 높은 훈련이 진행되고 있지만, 대표팀 분위기는 최상이라고 합니다. 쇼트트랙 선수들이 잠이 채 깨지 않은 새벽 6시 트랙에서 몸을 풀기 시작하고, 이어 웨이트트레이닝장에서 구슬땀을 흘립니다. 대표팀 훈련은 오전에 한 번, 오후에 두 번 등 총 세 번이지만, 저녁 자율 훈련까지 하면 모두 네 차례에 이릅니다. 특히 빙상 훈련에서는 하루에 200바퀴, 매일 22km를 달리는 등 강훈련의 연속이지만, 평창 올림픽을 앞두고 분위기는 최상입니다. ▶ 인터뷰 : 김아랑 / 쇼트트랙 국가대표 - "'아 짜증 나' 생각할 때가 잦은데, 긍정적으로 얘기하는 편이고 파이팅도 먼저 해서 웃어요." 소치 올림픽에서 '..
200일 앞으로 다가온 평창동계올림픽. 우리 선수들은 여름보다 더 뜨거운 겨울을 위해 오늘도 온몸을 땀으로 적시고 있습니다. 스피드스케이트 대표팀이 빙판 위가 아닌 뜨거운 아스팔트 위를 쉴 새 없이 달리고, 봅슬레이·스켈레톤 대표팀은 강도 높은 체력 훈련에 얼굴을 찌푸리면서도 더욱 이를 악뭅니다. 각기 다른 곳에서 다른 방식으로 다가오는 겨울을 준비하지만, 목표는 단 한 가지, 평창올림픽 시상대에 서는 것뿐입니다. ▶ 인터뷰 : 박우상 / 아이스하키 대표팀 주장 - "평창에서 좋은 모습을 보여드리겠습니다. 올림픽에서 지지 않으려고 노력합니다. 꼭 금메달 따려고…." 안방에서 열리는 올림픽, 우리 대표팀은 역대 최다인 금메달 8개를 목표로 잡았습니다. 쇼트트랙에서 금메달 6개를 따고, 스피드스케이팅과 썰매..
'빅토르 안'이란 이름으로 러시아 쇼트트랙을 이끌고 있는 안현수가 모처럼 국내 취재진과 만났습니다. 1985년생 안현수에게 내년 2월 평창동계올림픽은 마지막 올림픽이 될 텐데요. 모교인 한국체대 빙상장에서 러시아 국가대표로 훈련 중인 안현수. 러시아대표팀의 중심이란 걸 한눈에 봐도 알 수 있습니다. ▶ 인터뷰 : 안드레이 / 러시아 쇼트트랙 대표팀감독 - "빅토르 안의 풍부한 경험은 젊은 선수들에게 많은 도움을 주고 있습니다." 2006년 토리노 대회에선 한국 대표로 금메달 3개, 2014년 소치 대회에선 러시아 대표로 금메달 3개를 목에 걸었던 안현수. ▶ 인터뷰 : 안현수 / 러시아 쇼트트랙 국가대표 - "딸이 보는 앞에서 제가 태어난 나라에서 올림픽을 치를 수 있다는 것을 큰 영광이라고 생각하고 자..
- Total
- Today
- Yesterd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