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을 이사 철을 앞두고, 서울에서는 전세 물건이 쏙 들어갔습니다. 8·2 대책 이후 안정세를 보이는 매매 시장과 달리 서울 전세 시장은 불안감이 커지고 있습니다. 서울 광장동의 한 아파트단지. 학군 인기 지역인 이 아파트 전용면적 59㎡의 전셋값은 6억 중반대입니다. 세대 수가 450가구를 넘지만, 중소형과 대형 가리지 않고 전세 물건이 자취를 감췄습니다. 개학을 앞두고 이사 수요가 몰리면서 대기자는 줄을 섰습니다. ▶ 인터뷰 : 윤재근 / 서울 광장동 공인중개사 - "25, 35, 47평 모두 10명 이상 대기 수요가 있습니다. 10월 학군 수요와 맞물려 전셋값이 더 오를 거로 생각합니다." 6천 세대의 이주가 시작된 서울 둔촌동 인근 지역은 올 중반에 비해 전셋값이 2~3천만 원 올랐습니다. ▶ 인터..
전세를 끼고 집을 사서 시세 차익을 노리는 이른바 '갭투자'는 부동산 시장을 교란하는 주범으로 꼽혀 왔죠. 앞으로는 집을 산 뒤 실제 거주하지 않으면 양도소득세 폭탄을 맞게 됩니다. 서울 길음역 앞 대단지 아파트촌입니다. 전용면적 59제곱미터는 전세를 끼고 5천만 원이면 살 수 있어, 시세 차익을 노린 투자 문의가 끊이질 않았습니다. ▶ 인터뷰 : 부동산 중개업소 - "(매매가는) 3억 9천, 4억, 4억 500 뭐 이런 거 있어요. 전세는 3억 3천에서 3억 5천…." 이처럼 '갭투자'가 늘면서, 2주택 이상 다주택자가 최근 주택을 추가로 구매하는 비중은 2015년 이전보다 두 배 이상 늘어났습니다. 정부는 '갭투자'를 주택가격 상승의 주범으로 보고 이에 대한 대책을 내놓았습니다. 당장 3일부터 새로 ..
- Total
- Today
- Yesterda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