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부터 서울의 학교 비정규직의 시급이 1만 원으로 인상됩니다. 학교 비정규직을 무기계약직으로 전환하는 방안도 추진되는데 갈등의 불씨는 여전합니다. 최근 학교 비정규직 근로자들의 열악한 처우 문제가 수면 위로 떠올랐습니다. 용역 업체 소속으로 서울시교육청 콜센터에 근무한 상담사들도 예외는 아닙니다. ▶ 인터뷰 : 곽은주 / 서울시교육청 콜센터 팀장 - "다른 회사로 변경됐을 때 복지나 급여체계가 이런 부분들이 언제든지 바뀔 수 있기 때문에…. " 새 정부 출범에 맞춰 서울시교육청도 대책을 마련했습니다. 우선 교육청 콜센터 직원과 조리사 등 간접 고용된 근로자 2천9백여 명을 직접 고용해 무기계약으로 전환할 방침입니다. 무기 계약에서 제외됐던 55세 이상 고령자나 주당 15시간 미만의 초단시간 근로자 등 ..
서울시교육청이 세월호 참사 시국선언에 참여한 공립학교 교사들을 징계하지 않기로 했습니다. 교사들은 사회 현안에 의견을 낸 것이라고 주장하지만 정치적 중립을 어겼다는 비판이 나옵니다. 지난 2014년 4월 세월호 참사가 일어난 뒤, 교사 280여 명이 시국선언에 나섰습니다. 청와대 홈페이지에 글을 올렸는데 진상 규명과 책임자 처벌 등이 핵심 내용이었습니다. 이에 교육부는 같은 해 6월, 교사들이 정치 운동에 뛰어들었다며 검찰에 고발했습니다. 그런데 조희연 서울교육감은 시국선언에 참여한 교사 10명에 대한 징계의결 요구를 철회했습니다. 중요한 사회 현안에 자신의 생각을 밝힌 이유로 징계를 받는 것은 부적절하다는 것입니다. 이달초 충북교육청이 시국선언 교사 3명에 대한 징계를 면제한 가운데 다른 시도교육청의 ..
- Total
- Today
- Yesterday